이상지질혈증

02. 당뇨병 환자 함께하기

혈관

당뇨병과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환자에서는 당뇨병이 없는 환자보다 이상지질혈증 유병률2.3배 더 높습니다.1
특히, 나쁜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이 39mg/dL씩 증가할 때마다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위험도는 약 60% 증가합니다.1

콜레스테롤
혈관

만성질환 동반 환자의 치료 변화율

만성질환 동반 환자의 치료 변화율은 2002부터 2020년까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

치료율
혈관

당뇨병과 이상지질혈증 동반 환자의 병원 방문율

그렇지만 당뇨병과 이상지질혈증 동반질환 진단 후 6개월 이내 병원 방문율은 43%로 진단된 전체 환자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2

혈관
혈관

당뇨병 환자에서의 이상지질혈증 치료 목표

2023년 당뇨병 진료지침에서는 당뇨병 환자에서
다음과 같은 지질 종류별 목표 수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3

2023년 당뇨병 진료지침 지질 종류별 목표 수치 <100 mg/dL : >40 mg/dL : 남자 <150 mg/dL >50 mg/dL : 여자 <70 mg/dL (선택적*< 55 mg/dL) : <55 mg/dL : 유병기간 10년 미만이면서심혈관질환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인자1) 또는 표적장기손상2)또는 유병기간 10년 이상인 경우 심혈관질환을 동반한 경우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1) 연령 (남자 45세 이상, 여자 55세 이상), 관상동맥질환의 조기 발병 가족력, 고혈압, 흡연, HDL-콜레스테롤 40mg/dL 미만2) 알부민뇨, 추정사구체여과율 60mL/min/1.73m2 미만, 망막병증, 신경병증, 좌심실비대*표적장기손상 혹은 3개 이상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동반 시 출처: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제8판. 2023
혈관

당과 이상지질혈증

설탕이나 꿀과 같은 단순당소화 흡수가 빨라 급격한 혈당 상승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4
특히, 2030 연령대는 가당 음료를 많이 섭취하므로 당뇨병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에 주의해야 합니다.5

가당 음료 섭취와 심혈관질환 연관성6 가당 음료를 먹었을 때발생할 수 있는 가당 음료 하루 2잔 이상섭취하면 가당 음료 하루 1잔(8oz = 약 237g) 이상 섭취하면 심혈관질환전세계 사망자 수 총 사망 위험 당뇨병 위험 관상동맥심장질환 위험 12 8 26 26 만명 % 증가 % 증가 % 증가
화살표

다음 컨텐츠

03

고혈압 환자와 함께하기

과녁
참고문헌 1. 질병관리청. 주간건강과 질병. 제13권 제37호 (2020.09.10) 2.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fact sheet 2022 3.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 진료지침 제8판. 2023 4. 대한당뇨병학회. 당뇨병과 식생활> 당뇨식은 건강식입니다. Available at: https://www.diabetes.or.kr/general/dietary/dietary_01.php (accessed on 20 Mar. 2023) 5.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2022 식품영양 데이터로 바라보는 한국인 이상지질혈증과 심혈관 건강
이상지질혈증 목차보기